2025년 직장인 전세자금대출 가능한 은행 TOP 5 – 신용점수 낮아도 OK?
2025년 현재, 전세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많은 직장인들이 전세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사회초년생이나 신용점수가 낮은 직장인들은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기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정부정책과 각 은행의 상품 개선으로 인해 전세자금대출의 문턱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1. KB국민은행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직장인 대상. 금리 2.1%부터, 최대 1억 2천만 원. 신용점수보다 소득·보증금 기준 심사. 영업점 방문 필수.
항목 | 내용 |
---|---|
대출 대상 | 무주택 세대주 직장인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대출 한도 | 최대 1억 2천만 원 |
금리 | 연 2.1%부터 |
중도상환수수료 | 없음 |
보증기관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
신청 방법 | KB 영업점 방문 신청 |
소득 요건 |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신용점수 영향 | 낮은 신용점수도 승인 가능 (소득·보증금 기준 심사) |

2. 신한은행 – 쏠편한 전세대출
모바일앱 ‘쏠(SOL)’에서 신청 가능. 최대 2억 원, 금리 3.1%부터. 정부 보증 연계로 신용점수 낮아도 승인 가능.
3. 우리은행 – 우리 전세자금대출
보증기관 연계 상품. 최대 1억 5천만 원, 금리 2.8%부터. 재직증명서와 기본 소득서류만 있으면 가능. 중도상환수수료 없음.
4. 하나은행 – 하나원큐 전세대출
모바일 신청 가능. 최대 2억 2천만 원, 금리 2.9%. 내부 신용평가 및 보증기관 승인 조건 충족 시 빠른 진행 가능.
5. 카카오뱅크 – 전월세 보증금 대출
모바일 기반, 최대 1억 원, 금리 3.5%. 전세 계약서와 재직서류로 간단 신청. 빠른 승인. 단, 보증연계 미비 시 신용조건 요구.
은행 | 최대 대출 한도 | 최저 금리 | 중도상환수수료 | 신청 방식 | 특징 |
---|---|---|---|---|---|
KB국민은행 | 1억 2천만 원 | 연 2.1% | 없음 | 영업점 방문 | 정부 보증 연계, 저신용 승인 가능 |
신한은행 | 2억 원 | 연 3.1% | 없음 | 모바일 앱(쏠) | 비대면 신청, 정부 보증 활용 |
우리은행 | 1억 5천만 원 | 연 2.8% | 없음 | 영업점 또는 모바일 | 서류 간단, 수수료 면제 |
하나은행 | 2억 2천만 원 | 연 2.9% | 없음 | 모바일 앱(원큐) | 내부 평가 + 보증기관 승인 |
카카오뱅크 | 1억 원 | 연 3.5% | 없음 | 모바일 전용 | 간편 인증, 빠른 처리 |

전세대출 신청 시 유의사항
- 중도상환수수료 여부 반드시 확인
- 보증기관 연계 여부와 신청 조건 비교
- 모바일 vs 영업점 신청 방식 구분